한국정서중심치료연구회(KIEFT) 1 페이지

본문 바로가기



정서중심치료 전문가 수련 기준

EFT 수련 과정 EFT 치료자 EFT 수련감독자 EFT 트레이너
체계적인 전문가 수련 필요
심리상담 관련 대학원의 교육/수련 및 공신력 있는 학회 발부 전문가 자격증 소지 필요
1단계: EFT 기본 수련 완료
  • 1
  • Level C(EFT 치료자) 완료
  • 2
  • EFT 수련감독자, 수련감독의 수련감독, 또는 Level A (Level 1 or 2) 보조 트레이너(워크숍 촉진자) 경험
  • 3
  • EFT 트레이너의 인준
  • 1
  • Level D(EFT수련감독자) 완료
  • 2
  • EFT 트레이너의 추천: 2회의 반나절 트레이닝 모델에 대한 수련감독에 기초
  • 3
  • 최소 3일의 수련감독자/ 트레이너 워크숍에 참가
2단계: EFT 수련 감독 실습 완료
3단계: EFT 치료자
1단계: 기본 수련
인본주의와 체험치료(예: 인간중심, 포커싱, 게슈탈트)에 대한 수련 경험이 없는 경우, 현존과 공감을 중심으로 한 인본주의 수련 추가 필요
  • [기본 수련 기준]
  • 1
  • EFT 이론과 실제(24시간 이상) – ISEFT Level 1 참가로 대체 가능 (예: 정서이론, 정서의 변화원리, 정서 심화, 과제/표식, 초점두기, 의자 작업)
  • 2
  • EFT 사례공식화 및 공개사례발표 참관(10시간 이상)
  • 3
  • EFT 의도적 연습(24시간 이상) – ISEFT Level 2 참가로 대체 가능
  • 4
  • EFT 체험/심화 집단(40시간 이상)
  • 5
  • 집단 수퍼비전(21시간 이상) 또는 개인 수퍼비전(5시간 이상) – ISEFT Level 3 참가로 대체 가능
  • 6
  • 애착과 트라우마(12시간) - 선택
  • * 수련감독자의 인준
2단계: 수련 감독된 실습
  • 1
  • 1 단계 기본 수련 완료
  • 2
  • 개인 수퍼비전 (16시간 이상) : 최소 2명의 내담자와 60회기 이상의 EFT 기반의 처치 경험 추천 / 간략한 사례 기술(사례공식화 포함)과 축어록(녹음/녹화 포함) 준비 필요
  • * 수련감독자의 인준
3단계: EFT 치료자
  • 1
  • 2단계 수련 감독된 실습 완료
  • 2
  • EFT 치료자 기술 평가: 공개사례발표 2회 및 EFT 수련감독자의 평가
  • <수련감독자 평가기준>
  • 1
  • 공감
  • 2
  • 표식식별
  • 3
  • 정서심화
  • 4
  • EFT 과제(포커싱, 재처리, 실연/적극 표현 작업, 치료적 동맹/대인관계/관계 작업)
  • 5
  • EFT 용어로 내담자 생각하기 (사례공식화, 과정 식별, 표식 식별, 체험적 구성 사용)

그누보드5

한국정서중심치료연구회 / 대표 : 한기백 / 사업자등록번호 : 202-82-66564
전화 : 02-705-4773 / 주소 : 서울 마포구 백범로 35, 711호 정하상관(대흥동, 서강대학교)

Copyright © 한국정서중심치료연구회. All rights reserved.